기초
next.js14에 의하면 next.js App router 방식을 제공한다. App router방식은 파일과 폴더를 기반으로 라우팅이 자동으로 작동한다. app router방식에 확정된 폴더 구조라는거는 사람마다 폴더를 세팅하는게 다르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app router방식의 규칙에는 따라야 한다. app router방식은 app하위에 폴더를 asdf라고 생성했다고 생각하자. 그럼 /asdf라는 주소의 페이지가 생성된다. 그 다음은 asdf하위에 page.js나 route.js라는 컴포넌트 파일을 생성하면 /asdf 주소에 반응하여 컴포넌트가 보여진다.
밑에 사진처럼 app router는 라우팅을 제공한다.
next.js의 component
결론 : 큰 의미에서 페이지에서는 server component를 사용하고 js기능이 필요한 부분은 분리 시켜서 client component로 만드는 게 좋은 거 같다.
route group app라우터 구조에서 문제점이 너무 많은 라우트 지점들을 생성하고 라우팅을 하다 보면 폴더 구조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것이다. 예시로 아래와 같이 폴더가 많아져서 만든 사람도 구분하기 힘들어진다.
그럴 때 route group이 유용하다. (name)이렇게 폴더를 만들고 관련된 라우트가 될 수 있는 페이지들을 그룹화 시키는 것이다. 아래처럼 역할에 따라서 그룹화 시켜 라우팅을 하면 좀 더 효율적이고 알아보기 쉽다!